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세계 전통 가옥 만들기: 각 나라의 건축 특징 배우기
    아동 발달과 육아 2025. 2. 17. 05:09

    세계 곳곳에는 기후, 지형, 생활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전통 가옥이 존재합니다. 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건축 특징을 배우고, 직접 모형을 만들면서 창의력과 공간 지각 능력을 키울 수 있어요. 부모와 함께 만들면서 자연스럽게 역사, 문화, 과학 개념도 접할 수 있답니다.


    1. 세계 전통 가옥을 배우는 이유 🏡

    세계의 집들은 왜 다 다를까?

    각 나라의 전통 가옥은 기후, 지형, 재료, 생활 방식에 따라 다르게 발달해 왔어요. 예를 들어, 더운 지역에서는 시원한 집이 필요하고, 추운 지역에서는 따뜻한 집이 필요하죠.

    전통 가옥을 배우면 얻을 수 있는 점

    • 과학 원리 학습: 건축 구조, 단열 효과, 재료 특성 이해
    • 문화 이해: 세계 여러 나라의 생활 방식과 역사 경험
    •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직접 만들며 입체적 사고 키우기

    👩‍👦 엄마: "우리나라 전통 가옥인 한옥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 아이: "나무랑 기와로 만들고 마당이 있어요!"
    👩‍👦 엄마: "맞아! 그럼 사막이나 추운 지역의 집들은 어떻게 다를까?"

     

     

    • 역사적 배경: 각 전통 가옥이 생겨난 이유를 설명하면 이해가 쉬워요. 예를 들어, 이글루는 극한의 추위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개발된 구조입니다.
    • 건축 재료 비교:
      • 한옥: 나무, 기와, 흙 → 통풍과 단열이 용이
      • 이글루: → 단열 효과
      • 게르: 나무 골조 + 천 → 이동 가능
      • 수쿠루: 진흙 + 초가지붕 → 햇빛 차단 및 내부 시원함

     


    2. 전통 가옥을 직접 만들어 보자! ✂️

    준비물

    ✏️ 두꺼운 종이, 나무젓가락, 종이컵, 점토, 풀, 가위, 색칠 도구 등
    💡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면 더욱 현실감 있는 모형을 만들 수 있어요!


    3. 다양한 전통 가옥 만들기 프로젝트 🌏

    각 나라의 전통 가옥을 배우고, 직접 만들어 보아요!

    ① 한국 – 한옥 🏠 (온돌과 마당이 있는 집)

    세계 전통 가옥 만들기: 각 나라의 건축 특징 배우기

    🏡 특징:

    • 한국의 전통 가옥인 한옥은 기후에 따라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도록 설계되었어요.
    • 바닥에는 온돌을 사용해 따뜻한 열기가 바닥을 타고 흐르게 만들었어요.
    • 창문과 문은 한지로 만들어 공기가 자연스럽게 순환할 수 있어요.
    • 처마가 길게 뻗어 있어 햇빛을 조절하고 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나무젓가락 (기둥과 벽)
    • 한지 또는 얇은 종이 (창문)
    • 검정 종이 (기와지붕)
    • 풀, 가위

    📌 만드는 과정:

    1. 나무젓가락을 사용해 사각형 틀을 만들고 벽을 조립한다.
    2. 한지를 적절한 크기로 잘라 창문과 문을 붙인다.
    3. 검정 종이를 길게 접어 기와지붕을 만들고, 살짝 휘어지도록 붙인다.
    4. 바닥 부분을 조금 높게 만들어 온돌 구조를 표현해 본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한옥에는 바닥이 따뜻한 온돌이 있어! 왜 그럴까?"
    👦 아이: "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내려고요!"
    👩‍👦 엄마: "맞아, 예전에는 나무를 태워서 방을 데웠어. 그런데 여름에는 어떻게 하면 시원할까?"
    👦 아이: "창문을 열면 시원한 바람이 들어와요!"

     

    🧠 두뇌 발달 효과:
    과학적 사고 – 온돌과 한지의 특징을 이해하며 전통 건축의 원리 탐구
    공간 지각력 – 처마와 기와 구조를 조립하며 공간 개념을 키움
    역사적 이해 – 한국 전통 건축의 아름다움과 기능을 배우며 문화적 자긍심 향상

    ② 캐나다 & 그린란드 – 이글루 ❄️ (눈으로 만든 집)

    🏡 특징:

    • 이글루는 눈과 얼음으로 만든 전통적인 에스키모(이누이트)족의 집이에요.
    • 둥근 반구형 구조로 되어 있어 눈보라가 불어도 튼튼하게 버틸 수 있어요.
    • 얼음으로 만든 집이지만 내부는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해서 따뜻하게 유지돼요.
    • 입구를 낮게 만들어 찬 공기가 아래로 빠져나가도록 설계되었어요.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하얀 스펀지 또는 스티로폼 조각
    • 풀, 칼

    📌 만드는 과정:

    1. 스펀지나 스티로폼을 작은 벽돌 모양으로 잘라 둥글게 쌓아 올린다.
    2. 입구 부분은 조금 낮게 만들어 찬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3. 조각들을 붙이며 둥근 지붕을 만들어 마무리한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눈으로 만든 집인데 안이 따뜻하대! 왜 그럴까?"
    👦 아이: "눈 속에 공기가 있어서 따뜻하게 유지돼요!"
    👩‍👦 엄마: "맞아! 공기가 단열재 역할을 해서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막아주는 거야!"

     

    🧠 두뇌 발달 효과:
    자연과학 이해 – 단열 원리와 공기층의 역할을 배움
    문제 해결력 – 둥근 형태로 지어야 튼튼하다는 점을 생각하며 논리적 사고 발달
    생존 환경 학습 – 추운 지역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이해

    ③ 몽골 – 게르 ⛺ (이동이 쉬운 원형 천막집)

    🏡 특징:

    • 몽골 유목민들이 이동 생활을 하며 사용했던 전통 가옥이에요.
    • 둥근 원형 구조로 되어 있어 바람에 강하고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 천과 가죽을 덮어서 보온 효과를 높이고, 여름에는 천을 걷어 통풍을 좋게 해요.
    • 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어 이동 생활에 적합한 구조예요.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나무젓가락 (기둥과 벽)
    • 천 조각 (외벽)
    • 실, 풀

    📌 만드는 과정:

    1. 나무젓가락을 원형으로 세워 기본 틀을 만든다.
    2. 천 조각을 감싸서 보온 효과를 표현한다.
    3. 꼭대기 부분을 뚫어 연기가 빠져나가는 환기구를 만든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게르는 왜 동그랗게 만들었을까?"
    👦 아이: "바람이 불어도 쓰러지지 않게 하려고요!"
    👩‍👦 엄마: "맞아! 또 쉽게 옮길 수 있도록 조립과 분해가 간단해!"

     

    🧠 두뇌 발달 효과:
    기후와 건축의 관계 이해 – 추운 지역에서 따뜻하게 사는 법 배우기
    공간 활용 능력 – 원형 구조의 장점을 생각하며 창의적 사고력 발달
    문화적 이해 – 유목 생활 방식과 그에 맞는 건축 양식 탐구

    ④ 아프리카 – 수쿠루 🏜️ (진흙과 풀로 만든 원형 집)

    🏡 특징:

    • 수쿠루 마을의 전통 가옥은 진흙과 나무로 만든 흙벽돌 집이에요.
    • 기온이 높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더위를 막고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어요.
    • 벽이 두껍고 창문이 작아 뜨거운 햇빛이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아요.
    • 비가 많이 오는 우기에는 지붕에 잔디나 나뭇잎을 덮어 빗물을 흡수하도록 해요.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점토 또는 갈색 찰흙
    • 나무 이쑤시개 (기둥)
    • 풀, 물

    📌 만드는 과정:

    1. 찰흙을 반죽하여 벽돌 모양으로 만들어 건조한다.
    2. 벽돌을 쌓아 올려 네모난 집을 만든다.
    3. 나무 이쑤시개를 이용해 지붕을 지지하는 기둥을 만든다.
    4. 마지막으로 지붕을 덮어 빗물을 막는 역할을 표현한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이 집은 벽이 두껍고 창문이 작아! 왜 그럴까?"
    👦 아이: "햇빛이 덜 들어오게 하려고요!"
    👩‍👦 엄마: "맞아! 또 흙으로 만들어져서 열이 천천히 전달돼서 집이 시원하대!"

     

    🧠 두뇌 발달 효과:
    환경과 건축의 관계 이해 – 더운 기후에서 시원하게 사는 방법 탐구
    구조적 사고력 – 벽돌을 쌓아 올리며 튼튼한 건축 원리 학습
    창의력 향상 – 자연 재료로 집을 짓는 방법을 생각하며 문제 해결 능력 강화

     

    ⑤ 페루 잉카  우로스 섬의 갈대집 🌾 (부드럽고 가벼운 수상 가옥)

    🏡 특징:

    • 우로스 섬은 페루의 티티카카 호수에 위치한 인공 섬으로, 토토라 갈대로 집과 섬을 모두 만들어 생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물 위에서 떠 있는 집이기 때문에, 물에 잘 뜨는 가벼운 갈대를 층층이 쌓아 만들어요.
    • 집뿐만 아니라, 보트와 다리, 심지어 학교까지도 갈대로 만들어져 있어요!
    • 튼튼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새로운 갈대를 덧대어 보수해야 합니다.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노란색 색종이 또는 가느다란 종이 스트립
    • 플라스틱 뚜껑 (호수를 표현)
    • 풀, 가위, 나무젓가락

    📌 만드는 과정:

    1. 노란색 색종이를 길게 잘라 갈대 다발 모양을 만든다.
    2. 여러 개의 갈대 다발을 가로로 층층이 쌓아 올려 벽을 만든다.
    3. 지붕을 만들기 위해, 갈대를 대각선으로 엮어 원뿔 모양으로 올린다.
    4. 플라스틱 뚜껑 위에 집을 올려 물 위에 띄워본다.
    5. (선택) 작은 종이 인형을 만들어 집 안에 넣어본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이 집은 땅 위가 아니라 물 위에 떠 있어! 왜 그럴까?"
    👦 아이: "호수에서 살기 위해서요!"
    👩‍👦 엄마: "그럼 비가 많이 오거나 바람이 불면 어떻게 될까?"
    👦 아이: "흔들리겠지만, 갈대를 더 올려서 튼튼하게 만들면 돼요!"

     

    🧠 두뇌 발달 효과:
    과학적 사고 – 물에 뜨는 물체와 가라앉는 물체의 차이를 이해함
    논리적 사고 – 갈대 구조가 튼튼하게 유지되려면 어떻게 쌓아야 하는지 고민함
    문화 이해 – 페루의 독특한 생활 방식을 배울 수 있음

     

    ⑥ 스위스 – 알프스 산맥의 통나무집 🏔️ (눈과 바람을 막아주는 튼튼한 산악 가옥)

    🏡 특징:

    • 스위스의 알프스 산맥 지역에서는 추운 겨울에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튼튼한 통나무집을 짓습니다.
    • 지붕이 가파르게 설계되어 눈이 쌓이지 않고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 통나무는 두껍고 단단하여 바람과 눈을 효과적으로 막아 보온성이 뛰어납니다.
    • 창문이 작고 벽이 두꺼워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만드는 방법:
    📌 준비물:

    • 나무 아이스크림 막대 (통나무 표현)
    • 갈색 색종이 (벽)
    • 풀, 가위

    📌 만드는 과정:

    1. 아이스크림 막대를 가로로 쌓아 벽을 만든다.
    2. 삼각형 형태의 지붕을 만들어 눈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한다.
    3. 작은 창문을 만들어 자연광이 들어오도록 표현한다.
    4. 지붕 위에 흰 종이를 올려 눈이 쌓인 느낌을 더해 완성한다.

    💬 부모와 아이의 대화 예시:
    👩‍👦 엄마: "알프스 산맥은 겨울에 눈이 정말 많이 와! 그래서 이 집은 지붕이 뾰족하대. 왜 그럴까?"
    👦 아이: "눈이 쌓이지 않게 하려고요!"
    👩‍👦 엄마: "맞아! 그리고 통나무로 만들어서 안에서도 따뜻하게 지낼 수 있지!"

     

    🧠 두뇌 발달 효과:
    자연환경과 건축 설계의 관계 학습 – 추운 지역에서 따뜻하게 지내는 방법 이해
    구조적 사고력 – 단단한 재료와 지붕의 형태가 집을 보호하는 원리 탐구
    공간 활용 능력 향상 – 창문과 벽의 위치를 고민하며 입체적 사고력 발달


    4. 가족과 함께하는 확장 활동 🏡

    • 전통 가옥 카드 게임
      • 전통 가옥과 해당 국가를 맞추는 카드 게임을 만들어 아이와 함께 할 수 있어요.
      • 활동 방법: 종이에 전통 가옥 그림을 그리고, 나라 이름을 적은 카드와 매칭하기.
    • 가상 세계 속 전통 가옥 여행
      • 아이와 함께 구글 어스(Street View)나 유튜브를 활용해 실제 전통 가옥을 탐험하는 놀이를 해볼 수 있어요.
      • 대화 예시: "오늘은 몽골로 여행을 떠나 볼까? 게르가 어떻게 생겼는지 직접 볼 수 있어!"

     

    • 가족별 가옥 만들기 대회
      • 가족 구성원 각자가 다른 나라의 전통 가옥을 만들고, 발표하면서 비교해볼 수 있어요.
      • 예시: 아빠는 이글루, 엄마는 한옥, 아이는 게르를 만들기
    • "미래의 전통 가옥" 디자인하기
      • "기후 변화나 환경 문제를 고려했을 때, 미래에는 어떤 집이 필요할까?" 라는 질문을 던지고, 아이가 자유롭게 미래형 전통 가옥을 설계해보게 하면 좋아요.

     

     

Designed by Tistory.